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칼 구스타프 융

by naa_na 2023. 6. 27.
반응형

칼 구스타프 융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이다. 부르크 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와 그에 따른 단어연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상은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 되고는 하였다. 그는. 특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해 이에 관련된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카를 융의 부친은 폴 융은 경제적인 성공을 원했지만 이루지 못했고스위스 개혁 교회의 작은 시골 목사로 평생 지냈다. 카를 융의 모친인 에밀리 프레이스바크는 5세기 이상 스위스에 거주한 후손으로 바젤의 기독교도이며 학자였던 사무엘 프레이스바크의 둘째 아내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사무엘은 바젤에 있는 개혁교단의 대표에게 주어지는 지위를 가졌었고, 바젤 대학의 히브리어 학과 교수이며 작가였다. 칼 구스타프 융은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지 않고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부르크 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연구를 시작한 것이다.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 연구를 하기도 했다. 융은 프로이트와 지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교류하였다. 1900년대 초기에는 심리학이 학문으로 보기에 초기단계였지만, 융은 프로이트의 새로운 "심리-분석"에 대해 전적으로 옹호하였다. 그 당시 프로이트는 그의 사상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 협력자를 필요로 하였다. 융은 1907 33일 프로이트를 비엔나에서 처음 만났다. 6개월이 지난 후 50세의 프로이트는 그의 최근 에세이를 취리히에 있는 융에게 보내었고, 그 후 6년 동안 많은 교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성욕중심설 말고도 알프레트 아들러의 사회심리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13년을 전후해서 독자적으로 이들의 양립에 관한 연구로 분석심리학설을 작업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그는 인간의 내면에는 의식과 무의식의 층들이 있다고 생각하였지만 한걸음 더 나아가 특히 개체로 하여금 내면의 무의식들이 통일된 전체를 실현하게 하는 자기원형이 초월적 기능이 있음을 주장했다.

 

융은 한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집단무의식이 대립구도를 이루면서 이러한 대립 속에서 끊임없이 조화를 향해 역동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학적 연구가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길일 것으로 여겼다. 한편 이러한 맥락에서 융은 인간이 겪는 괴로움과 고통이 심리적 사회적 성숙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로써 삶에 대한 겸손을 주요하게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심리치료법을 개발하여 이론화하였고 심리치료를 받는 사람들에게 '개체화'(또는 자기실현)라고 하는 자신의 신화를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좀 더 유연하고 온전한 인격체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1914년 사임하기까지 국제정신분석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바젤 대학교의 의학심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었고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주요 개념>

애니마와 애니무스 - 사람의 프시케의 상대의 성을 뜻한다. 여성의 프시케의 경우, 그녀의 개인의 내적 남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지 둘 모두를 갖고 있다. 반면, 남성의 프시케의 경우, 그의 개인의 내적 여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지 둘 모두를 갖고 있다.

원형 - 인류학에서 빌려온 개념으로 전인류적인 정신적 이미지 또는 테마를 뜻하며 시간에 따라 변한다.

원형 이미지 - 프시케에서 양 극단들을 중개할 수 있는 전인류적인 상징으로 문화를 넘나드는 종교적 예술, 미신, 동화들에서 나타난다.

집단 무의식 - 다른 문화들에서 사람들이 겪는 무의식의 양태들

콤플렉스 - 인지와 행동을 다스리는 이미지와 경험들의 억압된 조합

외향성과 내향성 - 심리적 형태에 기여하는 개방 또는 내성적인 정도의 성격의 특징

개성화 - 각자 개인이 의식 또는 무의식을 부정하지 않는 완성화의 과정이며 의식과 무의식을 모두 정당하게 다룬다.

페르소나 - 적응 또는 개인의 편리함을 위해서 나타나는 성격의 한 면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얼굴에 쓰는 마스크들이다.

그림자 - 주로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포함한 성격의 단면들로 억압되어 있어서 잘 모른다.

자기, 셀프 - 개성화 과정을 지배하는 중심 개념으로 여성과 남성을 일치시킨 만다라로 상징화된다. 융은 이것을 프시케의 주요 원형으로 보았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  (0) 2023.06.27
주요 심리학  (0) 2023.06.21
스탠퍼드 감옥 실험  (0) 2023.06.20
깨진 유리창 이론, 범죄 예방 환경 설계  (0) 2023.06.20
칵테일파티 효과  (0) 2023.06.20